본문 바로가기

뉴스/서울시

월 최대 20만원 지원 서울시 '청년월세' … 97% '주거안정 도움됐다'

서울시, 7,428명 대상 설문… 주거 97%, 경제 94%, 생활 98% 모든 측면 부담 덜어

 


높은 주거비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을 위해 서울시가 2020년부터 시작한 '청년월세 지원' 사업을 통해 올해까지 6만 명이 넘는 청년이 주거비 부담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31일 지난해 '청년월세'를 지원받은 청년들을 설문조사 한 결과 97%가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받았다'에 답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3년 간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총 6만 2천 명의 청년에게 월 최대 20만원, 10개월 간 월세를 지원했다.

 

청년월세는 2020~2021년 상반기까지는 중위소득 120% 이하를 대상으로 모집했으나 2021년 하반기부터는 더 폭넓은 지원을 위해 중위소득 150% 이하로 소득 기준을 완화했다.

 

서울시가 지난해 하반기 청년월세 수혜자 7,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4.67점'으로 월세 지원을 통해 청년이 느끼는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주거 97.98% ▴경제 94.34% ▴생활 98.46% 부문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했다. 

 

먼저 ▴주거 부문에서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2.52%가 '주거비 부담 완화'에 가장 많은 도움이 

됐다고 답했고 ▴경제 부문에선 65.56%가 '생활에 전반적으로 여유를 갖게 된 것'을 큰 변화로 

꼽았다. ▴생활 부문에서는 '심리적인 안정감(29.92%)'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식생활을 비롯해 

전반적인 면에서 개선을 경험했다(25.1%)'고 답했다.

 

'임대료 연체 경험'에 대한 설문에서도 월세를 지원받은 뒤로 임대료 연체 경험 없는 비율이 

늘었으며, 3회 이상 연체 비율도 월세 지원 이후 1%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서울시는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최근 주거비 부담이 더욱 커진 주거위기 청년을 돕고자 

지난 8월부터 국비를 지원받아 '한시 청년월세 특별지원'을 접수받고 있다.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만 19세~34세 무주택 청년으로 청년가구 중위소득 60% 이하, 

원가구(부모+청년) 중위소득 100% 이하인 경우라면 신청할 수 있으며 월 최대 20만원,

최장 12개월 동안 지원받을 수 있다.

  

'한시 청년월세 특별지원'은 올해 8월~2023년 8월, 1년 간 한시적으로 추진돼 수시로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복지로 누리집'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여러모로 고단한 청년의 삶을 더 힘들게 하는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고자 시작된 '청년월세 지원' 사업이 실질적으로 청년 생활에 활력과 윤기를 주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 전문가 자문 등 내실 있는 운영을 통해 더 많은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 주겠다"고 말했다.

 

월 최대 20만원 지원 서울시 '청년월세' … 97% '주거안정 도움됐다'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