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제품, LCD,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상품 운송 중 파손 방지
철도화물 진동저감장치는 진동과 충격에 취약한 전자제품, LCD,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상품의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60% 이상, 충격의 80% 이상을 줄여 화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24일 철도화물의 진동 및 충격을 줄이는 ‘철도화물 진동저감장치’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교통물류연구사업으로 철도연이 개발한 철도화물 진동저감장치는 코일스프링과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의 새로운 조합으로 화물 무게를 지지하면서 진동과 충격을 줄인다.
화물 무게가 바뀌더라도 충분한 진동 저감 성능을 유지하는 기능을 적용하여 국내 및 국제 특허를 취득했다.
도로 운송에서는 진동 및 충격을 50% 줄이는 무진동 트럭이 이미 활용되고 있지만, 화물트럭의 진동제어용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내구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크기 때문에 장거리 대량 수송을 하는 화물열차에는 적합하지 않다.
개발된 진동저감장치는 기존 컨테이너를 개조하지 않고 진동저감장치만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컨테이너 내부 바닥 양측에 2열로 설치되며, 특수 설계된 화물 운반대(화물 팰릿)를 적재한다.
설치와 제거가 간편하고, 지게차 진입이 용이하여 화물 상하차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컨테이너로 수송되는 모든 화물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고, 화물 운반대를 다양한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어 컨테이너 이외의 운송 과정에도 쓰일 수 있다.
또한, 완충을 위해 사용되는 과다한 포장재와 플라스틱을 줄여 친환경적인 수송이 가능해졌다.
철도연은 1년 동안 실시한 실험실 내 부품 시험과 2년 동안 진행한 천안-의왕-부산 간 철도 및 도로 수송 시험을 통해 성능검증을 완료했다.
시험 과정 중 계측된 진동 크기와 주파수 특성까지 반영했으며, 화물열차 및 도로 수송 모두 우수한 진동 저감 성능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영하 60℃의 저온과 80℃의 고온에 이르는 다양한 환경에서 내구성을 검증했다.
철도화물 진동저감장치는 참여기업인 유니슨테크놀러지(주)에 기술 이전되어 물류 기업에 보급될 예정이다. 양산체계를 구축하면 제작 단가를 더욱 낮출 수 있어 많은 수출이 기대된다.
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철도화물 진동저감장치는 철도화물 수송의 안전성 및 효율성 강화를 통한 철도 물류의 경쟁력을 높인 기술”이라며, “탄소 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환경 속에서 친환경 운송수단인 철도 물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K-철도물류 기술개발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철도연, 진동과 충격 60% 이상 줄이는 철도화물 진동저감장치 세계 최초 개발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
'교통 > 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레일유통, 2022년 체험형 청년인턴 공개모집 (0) | 2022.05.25 |
---|---|
신림선 개통으로 서울 서남권에서 여의도 출퇴근 대폭 단축 (0) | 2022.05.25 |
SRT 승차권 물가안정 특별 할인 (0) | 2022.05.20 |
철도연, 교통카드 빅데이터로 효율적인 대중교통 체계 구축 (0) | 2022.05.19 |
철도연, 노후 철도교 개량을 위한 ‘판형교 하향식 거더 인상 시공기술’ 개발 (0)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