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

TS, 국민 대중교통 이용실태 데이터 제공

시간대별 대중교통 이용 등 각종 통계 홈페이지에서 공개 

 

 

전북‧전남 등 대중교통 부족지역 개선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돼 

 

한국교통안전공단(이하 TS)은 대중교통 현황조사 결과가 전국 지자체의 대중교통 부족지역 해소를 위한 정책 수립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대중교통 현황조사는「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6조에 따라 대중교통 중심 교통체계 구축과 이용 활성화를 위한 대중교통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매년 조사를 공표하고 있다.

 

지난해 TS는 2023년도 대중교통 현황조사 결과를 26개 지자체에 제공했다. 실제 전국 지자체의 대중교통 현황조사 결과 활용 사례를 살펴보면,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는 지역의 대중교통 노선개편에 검토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했으며, 전라남도 강진군은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의 분석/활용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했다. 

 

국가통계포털 또는 공공데이터포털 등의 통계 홈페이지에는 대중교통 중심 교통체계 구축과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대중교통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인 대중교통 현황조사 결과가 공개되어 있으며, 2024년도 결과는 올해 9월 제공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통카드와 버스정보시스템(BIS), 매표자료 등 데이터 조사·분석과 실제 탑승객 조사를 통한 ‘대중교통 운행 및 이용실태조사’, 대중교통 이용자의 만족도와 개선 필요사항을 발굴하기 위한 설문조사 기반 ‘대중교통 환승실태 및 이용자 만족도 조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확보‧부족 지역을 파악하기 위한 ‘최소서비스 수준 조사’, 대중교통 운영자 및 시설물 현황을 알려주는 문헌·자료 조사 기반 ‘통계조사’로 구성된다.

 

정용식 TS 이사장은 “대중교통은 국민 생활의 질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저출산·인구감소가 심각한 일부 지역은 통학과 병원·공공기관 등 필수시설에 가는 노선이 축소되거나 폐지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앞으로 대중교통 부족지역을 해소하는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대중교통 접근성과 최소서비스 수준 등 보다 유용하고 정확한 지표를 적극 개발하여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TS, 국민 대중교통 이용실태 데이터 제공 - 국토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