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

TS, 세계 최초 전기차 배터리 안전 평가기술 선보인다

BMS의 ‘상시 감시·자동 신고·정보 저장’ 검증체계 마련 

 

 

올해 25개 차종에 적용해 사고 예방 강화... 관련 리콜도 시행 

 

한국교통안전공단(이하 TS)은 20일 전기차 화재로 인한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작년 한해 추진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운영성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먼저, 2018년~2024년 기간 동안 실시한 156건의 전기차 화재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면, 발화장치별 화재 건수는 ▲ 고전압배터리가 85건 ▲ 차량 기타 장치 39건 ▲ 차량 외부요인 및 원인미상 등 32건 순으로 나타났다.

   

화재상황별 화재 건수는 ▲ 주차·충전 중 103건 ▲ 주행 중 32건 ▲ 충돌사고 후 21건이 발생했다. 특히, 주차 중 발생한 고전압배터리 화재는 초기 발견과 대응이 어려워 대형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했다.

 

TS는 ‘전기차 화재 대응 TF’를 구성하고 신속성, 전문성,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 신규 평가항목을 신설하고, 사전인증 관리 대상 부품을 확대하는 등 안전관리 체계를 구체화했다.

 

주차 중 화재 시 BMS(배터리관리시스템)가 작동하지 않아 고전압 배터리의 이상을 감지하지 못하고, 화재 전조증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소방기관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초동 조치가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① 배터리 상시 감시, ② 자동 신고, ③ 정보 저장의 3가지 평가항목을 새롭게 마련한 BMS 보호기능 평가를 2024년 세계 최초로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 도입했다.

 

BMS 보호기능 평가를 통해 제작사가 고전압 배터리 화재 예방과 피해감소를 위한 BMS 첨단 기술을 차량에 장착하도록 유도하여, 2025년 BMS 신기술이 적용된 차량이 25개 차종으로 확대됐다.

 

기존의 자기인증 방식에서 벗어나 배터리 안전성을 정부가 직접 인증하는 배터리 사전인증제도 추진에도 만전을 가하고 있다. TS는 전담조직을 신설하여 시범사업을 착수·완료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비점을 보완하고 세부 절차를 마련하여 제도 시행을 위한 준비를 완료했다.

 

이외에도 전기차 화재 발생 시 화재 원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결함 가능성이 확인된 차량에 대해서는 신속한 리콜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재조사 분석시설을 구축했으며,

국토교통부, 자동차 협회, 국내·외 전기차 제작사와 협조하여 실시 중인 ‘전기차 무상 특별점검’이 매년 실시되도록 지원했다.

 

또한, 주차 중 배터리 이상(화재)을 감지하면 이를 자동으로 소방기관에 신고하는 기능을 갖춘 긴급 호출기를 개발하고, 전기차 배터리 충돌 안전성 평가기술을 개발하는 등 전기차 안전성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정용식 TS 이사장은 “TS가 보유한 전기차 화재조사 관련 노하우와 연구 역량을 활용하여 안전한 전기차 운행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사전 예방 측면의 철저한 안전관리를 통해 전기차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TS, 세계 최초 전기차 배터리 안전 평가기술 선보인다 - 국토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