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

국토부-TS, 국내 최초 교통카드 합성데이터 개방

3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공개, 전국 확대 예정 

 

 

지역별 교통대책‧부동산 전략 수립 등 활용 계획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하 TS),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하 NIA)은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최초로 교통카드 합성데이터 등 이용내역 관련 65개 항목의 공공데이터를 개방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교통카드 공공데이터 개방은 합성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카드 이용내역 관련 데이터 개방사례로, 공공과 민간의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 및 도시 교통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데이터 활용 기반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교통카드 공공데이터는 행정안전부 예산을 지원받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오픈 API형태로 제공된다. 주요 항목은 교통카드 이용량, 통행시간 및 거리, 노선 및 정류장 정보, 이용객 수요 O/D, 응용 데이터 등 총 65개 분야 공공데이터이다. 

 

특히 교통카드 공공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교통카드 원본 데이터를 직접 공개하는 대신, 원천데이터의 통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개인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합성 데이터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고 분석의 신뢰도를 높였다

 

합성 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카드 공공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와 통계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이도록 설계된 데이터셋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실제 교통카드 이용 패턴을 반영하여 신뢰성을 확보했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객의 승·하차 패턴과 이동 경로를 철저히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특정 개인을 유추할 수 없도록 안전성 지표를 활용한 검증도 실시했다.

 

교통카드 공공데이터는 다양한 국내 산업 및 공공 부문에서 유동 인구 및 상권 분석을 통해 지역별 교통량을 파악을 통한 교통대책 수립과 부동산 개발 전략 수립에 활용될 전망이다.

 

이밖에 출퇴근 시간대 혼잡도를 분석해 버스나 지하철의 배차 간격을 조정하고, 특정 노선의 교통 분산 정책을 마련하는 데도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와 TS, NIA는 올해 3월 수도권부터 우선적으로 교통카드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이후 전국으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 

 

정용식 TS 이사장은 “이번 교통카드 공공데이터 개방이 대중교통 정책 혁신뿐만 아니라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연구기관, 기업, 지자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개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데이터 품질 검증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토부-TS, 국내 최초 교통카드 합성데이터 개방 - 국토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