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지난 7일 화상회의를 통해 철도 무선급전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했다.
이날 화상회의에는 국제표준화기구(IEC) 산하 철도기술위원회(TC9) 철도무선급전시스템 Ad'Hoc 그룹(AHG)의 회원국 프랑스·이탈리아·독일·중국·일본·한국(국토부‧철기연‧과기부 담당자) 등 6개국 철도 무선급전 기술 전문가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국제표준화 회의는 우리나라(국토부·철기연·과기원)가 2018년 12월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 제안한 국제표준안이 임시작업그룹(AHG, Ad‘Hoc 그룹) 과제로 채택(2020년 12월)된 이후 국제표준 제정을 위해 열리는 실무회의다.
한국이 제안한 '철도 무선급전 시스템의 상호호환성과 안전성 관련 국제표준안'에 대해 국제적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
철도시스템은 그동안 가선을 통해서만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 전차선 급전방식이었는데, 무선 급전(Wireless power transfer) 방식은 철도차량이 주행 또는 정차 중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 주는 기술이다.
이번에 국제표준으로 제정하려는 무선급전시스템은 전차선 급전에 비해 감전 사고위험 제거, 도시미관 향상 등 괄목할 만한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가선 방식에 비해 전차선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터널 단면적 감소로 인한 공사비 절감, 역사 위치 선정에 있어서의 제약 사항 완화 등 다양한 이점이 있어,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무선급전시스템 국제표준안을 기반으로 국내 활용도를 점진적으로 늘릴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철도 주행 중 무선급전의 상호호환성과 안전성을 위한 코일방식(무선급전의 핵심 매개체)'에 대한 내용이 중점적으로 논의됐으며, 한국은 타원형코일방식을 제안했다.
한국이 제안한 타원형 코일방식으로 무선급전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 개발한 원형 코일방식보다 비용을 절반 이하로 낮출 수 있어, 참가국들은 많은 관심을 보였고 이와 관련해 적극적인 의견 교환을 했다.
향후 무선급전시스템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되면 무선급전시스템에 대한 철도 차량과 시설 간의 상호호환성을 확보하고 전자파로부터 안전한 환경이 조성되는 등 철도무선급전 기술 상용화의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 강희업 철도안전정책관은 "이번 국제표준 제정 추진을 통해 우리나라가 철도 무선급전기술을 선도하고 해외시장 선점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향후에도 우리나라가 개발한 우수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철도 무선급전기술 국제표준화 회의 개최…한국형 기술 국제표준화 제정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
'교통 > 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철도공단, '한눈에 쏙' 철도 신호분야 교육콘텐츠 제작 배포 (0) | 2021.05.12 |
---|---|
국가철도공단–SR 철도발전협력회의 개최…철도산업과 한국판 뉴딜 적극 추진 (0) | 2021.05.11 |
지하철 2호선 22시 이후 열차 추가 투입…최고 혼잡도 15.2%p 감소 (0) | 2021.05.10 |
국내 최초 '지하철형 공유오피스'…공덕 등 4개 역사 7월 오픈 (0) | 2021.05.03 |
[국토저널] 코레일유통, 서울역 고향뜨락 매장 운영 (0)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