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와 취업 유발효과 기대 전망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17일 서울에서 소상공인 간편결제(제로페이)로 사용된 재난지원금(1363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유발효과 2529억원(1.9배), 부가가치유발효과 1169억원(0.9배), 취업유발효과는 2312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 소상공인 간편결제 재난지원금(1363억원) 사용 현황 >
재난지원금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68.8%가 소상공인 점포에서 발생됐으며, 특히 매출액 8억원 이하인 소상공인 점포에서 2264억원(전체의 61.2%)의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와 1424명(전체의 61.6%)의 취업 유발효과가 발생하는 등 8억원 이하 소상공인이 가장 큰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공인 간편결제 재난지원금의 매출규모별 경제유발효과 분석 현황 >
업종별로는 도소매업 등 유통서비스업에서 2305억원의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와 1420명의 취업유발효과가 있었고, 음식점 등 개인 서비스업에서 1264억원의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와 831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발생된 것으로 분석됐다.
< 공인 간편결제 재난지원금의 경제유발효과 분석 현황 >
소진공 관계자는 "재난지원금 18조원 중 서울지역에서 소상공인간편결제로 사용된 1363억원으로만 분석한 한계는 있으나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이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 밝혔다.
≪국토저널≫ 재난지원금 제로페이 유효한 효과…소상공인 점포에서 약 70% 발생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17일 서울에서 소상공인 간편결제(제로페이)로 사용된 재난지원금(1363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
www.kooktojournal.news
'경제·IT > 비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가스공사, LNG 벙커링선 건조 지원 사업자로 낙점 (0) | 2020.09.24 |
---|---|
청량리 전통시장 화재 발생... 소진공 조봉환 이사장 긴급현장 방문 (0) | 2020.09.21 |
[국토저널] 한국감정평가사협회, 감정평가사 자율성 확대 법안 적극 환영 (0) | 2020.09.14 |
[국토저널] 중기부, '소재·부품·장비 창업기업 100 국민심사단' 출범 (0) | 2020.09.04 |
[국토저널] 중소기업 인큐베이터 역할 확대로 동반성장 강화 (0) | 202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