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IT/비즈

재난지원금 제로페이 유효한 효과…소상공인 점포에서 약 70% 발생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와 취업 유발효과 기대 전망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17일 서울에서 소상공인 간편결제(제로페이)로 사용된 재난지원금(1363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유발효과 2529억원(1.9), 부가가치유발효과 1169억원(0.9), 취업유발효과는 2312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 소상공인 간편결제 재난지원금(1363억원) 사용 현황 >


재난지원금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68.8%가 소상공인 점포에서 발생됐으며, 특히 매출액 8억원 이하인 소상공인 점포에서 2264억원(전체의 61.2%)의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와 1424(전체의 61.6%)의 취업 유발효과가 발생하는 등 8억원 이하 소상공인이 가장 큰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공인 간편결제 재난지원금의 매출규모별 경제유발효과 분석 현황 >

 

업종별로는 도소매업 등 유통서비스업에서 2305억원의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와 1420명의 취업유발효과가 있었고, 음식점 등 개인 서비스업에서 1264억원의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와 831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발생된 것으로 분석됐다.

 

< 공인 간편결제 재난지원금의 경제유발효과 분석 현황 >

소진공 관계자는 "재난지원금 18조원 중 서울지역에서 소상공인간편결제로 사용된 1363억원으로만 분석한 한계는 있으나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이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 밝혔다.

 

 

 

 

 

≪국토저널≫ 재난지원금 제로페이 유효한 효과…소상공인 점포에서 약 70% 발생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17일 서울에서 소상공인 간편결제(제로페이)로 사용된 재난지원금(1363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

www.kooktojournal.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