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연간 토지거래량은 작년 대비 17.4% 감소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24일 발표한 '2023년 연간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지가는 0.82% 상승했다. 상승폭은 2022년(2.73%) 대비 1.91%p, 2021년(4.17%) 대비 3.35%p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4분기 지가변동률은 0.46%로, 3분기(0.30%) 대비 0.16%p, 2022년 4분기(0.04%) 대비 0.42%p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수도권(3.03% → 1.08%) 및 지방(2.24% → 0.40%) 모두 2022년 연간 변동률 대비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시·도에서는 세종(3.25% → 1.14%), 서울(3.06% → 1.11%), 경기(3.11% → 1.08%) 3개 시도가 전국 평균(0.82%)을 상회했다.
시·군·구는 용인처인구 6.66%, 성남수정구 3.14%, 군위군 2.86%, 울릉군 2.55%, 강남구 2.43% 등 50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또한, 수도권과 지방은 지가 상승폭에서 차이를 나타냈으며, 250개 시·군·구 중 89개 시군구가 연간 지가변동률 0.0% ~ 0.3% 수준을 나타냈다.
작년 전체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182.6만 필지(1,362.4㎢)로 2022년 대비 17.4% 감소(△38.3만 필지), 2021년 대비 44.6% 감소(△147.1만 필지)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71.0만 필지(1,263.8㎢)로, 2022년 대비 27.1% 감소(△26.4만 필지), 2021년 대비 43.1% 감소(△53.8만필지)했다.
지역별로 2023년 전체토지 거래량은 2022년 대비 대구 18.5%, 대전 6.9% 등 3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14개 시·도에서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 △46.0%, 부산 △42.7%, 대전 △40.0% 등 17개 시·도에서 모두 감소했다.
지난해 연간 전국 지가 0.82% 상승...15년 만에 최저 수준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
'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홈 4차 사전청약 19.6대 1 마감 (0) | 2024.01.26 |
---|---|
논산, 전자부품, 기계장비 제조업 등 국방 전력 지원 중심의 국방특화 산단으로 조성 (0) | 2024.01.25 |
공사비 산출 근거 명확화, 공사비 조정기준 마련 등 '정비사업 표준공사계약서' 배포 (1) | 2024.01.23 |
도시정원 프로젝트 ‘LH-파주가든’ 작가정원 공모 실시 (1) | 2024.01.23 |
국토부, 수분양자·협력업체 지원 애로신고센터 운영 (0) | 202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