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

건설현장의 물가상황 반영한 표준시장단가 집중 관리로 작년 대비 7.3% 상승

국토부, 현장조사 중심으로 단가 현실화… 표준품셈은 스마트 기술 항목 대폭 확대

 

 


국토교통부는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 및 표준품셈을 29일 공고한다고 밝혔다.

 

표준시장단가는 실제로 시행한 공사의 공사비 중 공종별 시공비용(재료비+노무비+경비)을 추출하여 유사 공사의 공사비 산정에 활용하고 있다.

 

표준품셈은 보편·일반화된 공종·공법에 활용되는 인원수, 재료량 등을 제시한 것으로 단위작업 당 원가를 곱하여 공사비를 산정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올해 표준시장단가의 관리체계를 개편하여 종전 대비 76% 늘어난 318개 현장을 조사하고, 건설현장의 물가상황을 반영하여 단가를 개정한 결과 표준시장단가는 작년 대비 7.3%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총 1,852개 표준시장단가 중 411개 단가(토목 255, 건축 110, 기계설비 46)는 현장조사를 통해 개정했고, 그 외 1,037개 단가에 대해 건설공사비지수,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여 최근 8개월 간 물가변동분을 반영한 결과 직전 대비 4.56%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404개의 단가는 3D 모델링 기반의 설계 방식인 BIM 설계 환경에서 공사비를 편리하게 산정할 수 있도록 신설한 구조물 단가로, 기존 275개 단가를 포함하여 총 679개의 ‘BIM 구조물 단가’가 마련됐다.

 

표준품셈 개선 사항으로 표준품셈의 경우 449개 항목(공통 219, 토목81, 건축 49, 기계설비 41, 유지관리 61)을 개정하여, 스마트 장비ㆍ시설물이 활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품을 현실화했다.

 

머신컨트롤(MC) 굴삭기의 터파기 작업과 머신가이던스(MG) 도저의 흙깎기 작업에 대한 스마트 토공 원가기준을 신설했고, 지능형 CCTVㆍ출입관리시스템에 대한 스마트 안전 시설물 설치ㆍ해체 원가기준도 마련했다.

 

아울러, 최근 시공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탈현장 건설(OSC)과 관련된 원가기준도 신설(PC 벽체 설치, PC 모르타르 충전, 모듈러(건축) 양중ㆍ설치 등)하여 현장의 스마트 공법 적용을 지원한다.

 

국토교통부 김태오 기술안전정책관은 “앞으로도 현장 조사 중심으로 표준시장단가를 관리하여,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공사비 산정기준을 만들어 나가겠다”면서, “스마트 기술과 관련된 표준품셈 항목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스마트 기술의 현장 보급을 촉진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건설현장의 물가상황 반영한 표준시장단가 집중 관리로 작년 대비 7.3% 상승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