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필모 의원, “국제 출원 활성화해 기술 영토 넓혀가야…”
해외 특허에서 발생한 수익은 전체 특허 수익의 11.1%에 불과해
4대 과학기술원 특허의 해외출원비율이 30%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특허수익은 전체 특허수익의 11.1%에 불과했다.
더불어민주당 정필모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게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6월 말 기준 4대 과학기술원의 특허 출원 건수는 18,716건이었다. 이 가운데 해외 특허 출원은 5,020건으로 전체특허출원 대비 해외출원비율이 26.8%에 불과했다.
과학기술원별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출원한 특허 7,143건 중 2,235건을 해외에 출원했다. KAIST의 해외출원비율은 31.29%였다. 이어 광주과학기술원(GIST) 27.69%, 울산과학기술원(UNIST) 26.63%,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18.65%의 순이었다.
이처럼 해외 특허 출원이 적다보니 해외 특허 수익 실적도 저조했다. 지난 5년간 4대 과학기술원이 벌어들인 특허수익은 총 465억4,624만원이었다. 이 가운데 해외특허 수익액은 51억9,426만원으로 전체 수익의 11.1%, 국내 특허수익의 1/8에 불과했다.
과학기술원별 해외특허 수익액을 보면, KAIST가 32억30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UNIST 8억5,724만원, GIST 7억9,730만원, DGIST 3억3,667만원 순이었다.
전체특허 수익 대비 해외특허수익 비중은 GIST가 19.8%로 가장 높았다. 이어 UNIST 17.0%, KAIST 10.7%, DGIST가 4.5%로 모두 20%를 넘기지 못했다.
건당 수익에서도 국내와 해외 특허가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 5년 간 국내 특허는 건당 평균 3천5백만원 가량의 수익이 발생한 데 비해, 해외 특허는 건당 수익이 평균 1천3백만원에 그쳤다. 해외 특허가 국내 특허에 비해 창출하는 가치가 낮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정필모 의원은 “국가 간 기술패권경쟁이 심화되며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특허의 국제 출원을 활성화해 한국이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고 기술 영토를 넓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렇게 하려면 4대 과학기술원은 고부가가치 특허기술을 만드는 연구에 집중하고 해외출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 >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5년간 통신분쟁조정안 거부로 조정실패 866건 ! (0) | 2023.10.25 |
---|---|
‘요양병원부터 공공기관, 유치원까지 속였다’ ...농식품 원산지 위반 심각 (0) | 2023.10.25 |
최근 3년간 항만‧공항서 외래병해충 4,989건 검출 (1) | 2023.10.23 |
최근 5년간 全 통신사 유출 개인정보 48만여건... LG U+, 개인정보법 위반 최다 (0) | 2023.10.23 |
방통위 이용자보호업무 평가제도, 플랫폼기업 개선 효과 없어 (0)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