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변훈련, 어린이집 찾기 등 영유아 발달단계에 따른 맞춤 정보와 상담서비스
☎120 또는 구별 육아종합지원센터 신청→전화‧문자 상담…4월 카톡채널 개설
서울시는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엄마아빠 행복프로젝트'의 하나로, 육아 고민 원스톱 해결사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 활동을 본격 개시한다.
서울시는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 120명을 선발하고 1주간의 양성교육과 워크숍을 거쳐 자치구별 3~6명씩 배치, 활동에 들어갔다고 14일 밝혔다.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는 지난해 12월 공개 모집을 통해 만 18세 이상 서울시민 중 보육교사, 유치원교사 등 전문 자격증을 보유한 자를 우대해 선발했으며, 1주 14시간 동안 현장상담 기법 등 교육을 이수 후 현장에 배치됐다.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는 지속 가능한 공공 여성 일자리로도 자리매김 하고 있다. 금년 채용된 120명은 모두 여성이며, 120명 중 92명(77%)이 1년 이상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구 우리동네 보육반장)으로 활동한 경험이 있고, 3년 이상 꾸준히 활동한 인력도 37명(31%)이 있었다.
한편, 선발된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 중 83명(69%)은 보육교사, 유치원교사 또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보유한 보육 현장 유경험자였다. 연령별로는 40대가 58명(48%)으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44명(37%)으로, 그 뒤를 이었다.
앞으로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는 ‘찾아가는 공동육아방 상담 프로그램’과 ‘카카오톡 채널 상담 서비스’를 새롭게 시작하는 등 상담 채널을 다양화해 보다 촘촘한 육아 상담을 제공한다.
상반기 중에는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가 직접 발로 뛰고 육아 정책을 조사해서 수집한 정보를 총망라한 ‘우리동네 꼼꼼 육아정보’를 발간, 전자책 등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우리동네 꼼꼼 육아정보’ 책자에는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와 자치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소개, 생애 주기별(출산, 영유아기, 아동기) 육아정보, 대상별(다자녀, 한부모, 다문화, 장애인) 육아정보, 우리동네 육아정보 등이 담길 예정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는 현장 밀착형 육아 고민 원스톱 해결사 역할을 할 것”이라며, “우리 동네의 육아 정보를 알고 싶거나, 고민 상담이 필요한 엄마아빠는 주저하지 말고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를 적극 활용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시, ‘육아 지원 코디네이터’ 120명 본격 활동 개시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
'뉴스 > 서울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부터 취업까지 한 번에' 서울시, 중장년 맞춤 직업교육 개발 (0) | 2023.02.15 |
---|---|
서울시의회 , “2023년을 기초학력 보장 제도 마련의 원년으로 삼을 것” (0) | 2023.02.15 |
서울시 기초생활수급권자 및 차상위계층 최대 59만 2천원 지역난방비 지원 (0) | 2023.02.14 |
서울시 출자․출연 기관 통폐합 시에도 설립에 준하는 절차와 과정 거쳐야 (0) | 2023.02.14 |
‘2023년 제8기 서울영상크리에이터’ 참여자 모집... 2월 13일~2월 26일까지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