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이전 건축, 녹에 취약한 아연도강관 사용 주택 대상…공사비 최대 80% 지원
전체 87% 교체 완료…잔여 6만9천 가구 지원 마무리
수도관 교체 전‧후 수질검사 결과 수질개선 효과 커…다산콜‧수도사업소 신청
지난해 10월 환경부가 발표한 “2021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36.5%는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먹는 것(중복응답)으로 나타났으며 ‘수돗물 만족도 향상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정책(중복응답)’ 중 하나로 ‘주택 노후 수도관 교체 지원(28.1%)’을 꼽았다.
서울시가 수돗물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음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깨끗한 수돗물의 수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주택 노후 수도관’ 교체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서울시는 2007년부터 전국 최초로, 낡고 녹에 취약한 아연도강관을 쓰고 있는 주택을 대상으로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도관 교체 공사비를 지원해왔다.
올해 기준 서울시에서 수도관 교체가 필요한 잔여 가구는 6만9천 가구로, 시는 잔여 가구 전량 교체를 목표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618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사업을 시작한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1,932억 원을 투입해 교체대상에 해당하는 서울시내 56만 5천 가구의 87%인 49만5천 가구의 낡은 수도관 교체를 지원해 왔다.
지원 금액은 전체 공사비의 최대 80%다. ▴단독주택은 최대 150만 원 ▴다가구 주택은 가구 수 별 차등하여 최대 500만 원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세대 당 최대 140만 원(세대배관 80만 원, 공용배관 60만 원)까지 지원된다.
지원 대상은 1994년 4월 이전에 건축되고 내부 수도관이 녹에 취약한 아연도강관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주택이다. 재건축, 재개발 등에 의한 사업승인인가 이전단계의 경우에도 교체비 지원이 가능하다.
대상여부 확인 및 신청 안내 등 관련 상담은 다산콜재단(국번없이 120번) 또는 지역별 관할 수도사업소로 전화하면 된다. 담당 직원이 각 가정을 방문해 수도관 상태를 확인하고, 지원 대상여부를 판단하여 지원 대상일 경우 지원 절차, 공사비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공사비 지원을 받은 1,212가구를 대상으로 수도관 교체 전‧후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물의 흐림 정도를 판단하는 탁도가 63% 개선돼 수도관 교체 후 수질개선 효과가 컸다고 분석했다.
이대현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정수장에서 깨끗하게 생산된 수돗물을 각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그대로 공급할 수 있도록 2025년까지 노후 수도관 교체 지원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라며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서울시, '주택 노후 수도관' 618억 투입해 2025년까지 교체 완료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
'뉴스 > 서울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곡지구 공공주택 자산가치 증가로 개발이익 5배 증가 (0) | 2022.09.22 |
---|---|
14억 인도 실리콘밸리 벵갈루루에 ‘서울창업허브 벵갈루루 액셀러레이팅센터’ 개소 (0) | 2022.09.21 |
양재천길, 합마르뜨, 장충단길 등 5개 골목상권, 서울대표 로컬브랜드로 집중 육성 (0) | 2022.09.20 |
선선한 바람과 함께 찾아온 가을, 남산둘레길 곳곳 ‘꽃무릇’이 활짝! (0) | 2022.09.20 |
창업가‧혁신가 모이는 글로벌 스타트업 대축제 'Try Everything' 개최 (1)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