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사업 일환
3조1816억 규모..30%국고, 70%국가철도공단서 분담
6조6천억원 생산유발효과와 4만4천여명 고용유발효과 기대
국토교통부는 오는 30일 '평택∼오송 2복선화 건설사업'에 대한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고시한다.
이는 기존 평택∼오송 고속철도 지하에 46.4km 구간의 상·하행 복선을 추가 건설하는 사업으로, 2019년 선정된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 중 가장 먼저 기본계획이 고시된 노선이기도 하다.
총사업비는 3조1816억원 규모로, 이 중 9천545억원(30%)은 국고로, 나머지 2조2천271억원(70%)은 사업시행자인 국가철도공단에서 분담하며, 기본계획 고시 이후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를 거쳐 5개 공구로 사업구간을 분할하고, 일괄입찰(Turn Key) 방식으로 추진키로 했다.
사업계획은 선로용량을 확대해 경부고속선과 수서고속선이 만나는 평택 분기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목현상 해소가 골자다.
향후에는 KTX, SRT 등 투입 가능한 고속열차 차량이 최대 2배까지 늘어나 국민들의 수요에 맞춰 더욱 다양한 시간대에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또 최고 설계속도 400km/h를 반영한 터널과 차세대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2), 4세대 무선 철도통신기술(LTE-R) 등 신호·통신 기술이 새롭게 도입한다고 설명했다.
먼저 최고속도 320km/h급 동력분산식 열차(EMU-320)가 운행이 시작되고, 연구개발을 거쳐 400km/h급 초고속열차가 운행될 수 있는 시설기반이 마련되는 셈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건설기간 동안 약 6조6천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4만4천여명의 고용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선태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은 "이번 평택∼오송 2복선화 사업으로 건설경기, 일자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력을 불어넣고, 향후 빠르고 편리한 고속철도 서비스를 국민들께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사업 공정관리를 통해 개통까지 차질없이 준비하고, 건설현장 안전을 철저하게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건설 > 건설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LH,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5천가구 공급 (0) | 2021.06.30 |
---|---|
국토정보지리원, 전국 건축물 대상 3차원 건물 모형 서비스 개시 (0) | 2021.06.29 |
국토안전 동반성장 2차 정기포럼 개최 (0) | 2021.06.29 |
일반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 광역교통 서비스 편의 확대 (0) | 2021.06.28 |
한국교통안전공단 서울본부 - 한국에너지재단, 교통사고 피해가족 에너지 복지 위해 손잡는다 (0) | 202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