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항공

국토부, 27일부터 항공안전데이터분석센터 운영

국토교통부는 27일부터 김포공항 국제선청사에서 '항공안전데이터분석센터'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 12개 국적항공사와 15개의 민항공사가 있다. 2019년 기준 세계 7위 항공운송 국가로 올라서면서 선제적 안전사고 예방이 제기돼왔고, 이를 안전데이터 체계 구축으로 대비하겠다는 취지다.

 

종전에는 정부기관·항공사·관제기관·공항공사에서 각각 개별 관리해오던 데이터였으나, 항공안전데이터분석센터가 범국가적 차원에서 일괄 관리하게 되면서 개별 분석에서의 취약점을 보완하게 된다는 계산이다.

 

국토부는 이렇게 취합·운영되는 데이터를 항공안전기술원이 맡아, 항공안전 목적에만 활용할 방침이다.

 

먼저, 올해는 정부와 공공기관 데이터를 연계·통합하고, 2024년까지 관제기관·항공사 등 항공서비스 제공자들이 보유한 안전데이터를 통합ㆍ분석하는 항공안전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차후에는 '빅데이터 기반의 안전 분석기술' 개발 사업을 2023년도까지 완료해 데이터센터에 도입할 예정이다. 

 

유경수 국토교통부 항공안전정책과장은 "항공안전데이터분석센터를 항공안전 분야에서의 데이터 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며, 데이터의 활용성과를 높이기 위해 민·관·연 안전데이터 협업도 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부, 27일부터 항공안전데이터분석센터 운영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