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호 시의원 “노선별, 역사별, 연령별 치료지급 데이터 쌓이고 있어, 예방에 신경 써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70대 이상 사고 가장 많아... 승강장발빠짐 및 승하차 중 출입문 끼임
2019년부터 올해 9월까지 서울교통공사 이용객 치료비 지급한 사례가 2756건, 약 24억원 규모인 것으로 확인됐다.
문성호 서울시의원(서대문2, 국민의힘)은 2024년도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소관 서울교통공사 행정사무감사에서 지난 2019년부터 올해 9월까지 5년 9개월간 교통공사 운영 역사 및 열차 이용 중 부상 사례가 2756건으로 사고예방에 최선을 다할 것을 주문했다고 13일 밝혔다.
서울교통공사 승객 보험처리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5년 9개월간 치료비를 지급한 사고 건수는 2019년 550건, 2020년 385건, 2021년 394건, 2022년 478건, 지난해 571건에 이어 올해 9월까지 378건으로 확인됐다.
치료비 지급 규모는 23억 9,437만원으로 코로나 19로 여파로 도시철도 이용 고객수가 감소하기 이전인 2019년 5억 984만원에서 연도별 감소하다가 지난해 5억 4,508만원으로 다시 증가, 올해의 경우 지난 9월 14일 기준 2억 841만원이 지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건 중 62건이 현재 소송 중이거나 손해사정을 의뢰한 상태로 지급액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문성호 시의원실에서 분석한 결과, 교통공사가 운영하는 1~8호선 중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난 노선은 4호선으로 463건, 5호선 420건, 7호선 378번 등이며 가장 적게 일어난 노선은 8호선 71번으로 나타났다.
276개 역사 중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난 역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4호선) 65번, 신도림역(2호선) 50번 등으로 주요 사고 원인은 승강장발빠짐이나 승하차 중 출입문에 끼임 등인 것으로 확인 됐다.
사고 연령으로는 70대 이상이 69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60대 542건, 30대 414건 순으로 발생했다.
문성호 시의원은 “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사고 건수는 치료비가 지급된 기준으로 산정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 치료비 지급건 기준 사고 2756건 이외 크고 작은 승객 부상이 많았을 것이다.”라며, “노선별, 역사별, 연령별 사고건수와 사고내용을 파악할 수 있음에도 사고예방을 위한 노력은 턱없이 부족하하다.”라고 지적했다.
'뉴스 > 서울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로구 ‘2025 장애인일자리 사업’ 참여자 모집 (2) | 2024.11.13 |
---|---|
서울에너지공사, 부채비율 증가, 영업이익률 하락하는 등 재정난 속 '27억 기부' 논란 (0) | 2024.11.13 |
남부순환로 평탄화 공사비, 설계부실로 390억 손실 발생 (0) | 2024.11.13 |
과태료 부과? 한강공원 불법 노점상 앞에서는 휴지조각... (0) | 2024.11.13 |
은평구 대조동 89번지 일대 모아타운 '심의 통과'… 총 1,363세대 공급 (0)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