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최초 인증 후 2027년까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위 유지
경기,포천,연천,강원,철원 5개 지자체, 재인증을 위해 공동협력 기울여와
한탄강지질공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재인증에 성공했다.
경기도는 9월 8일부터 15일까지 베트남 까오방에서 열린 APGN(아시아-태평양 지질공원 네트워크) 심포지엄에서 ‘한탄강지질공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재인증서를 교부받아 2027년까지 공식적인 지위를 유지하게 됐다고 19일 밝혔다.
세계지질공원은 4년마다 평가를 통해 재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번 평가는 2020년 한탄강지질공원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은 후 처음 실시하는 재인증 평가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세계적으로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명소와 경관을 보호, 교육,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관리되는 곳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한탄강, 제주도, 청송, 무등산권, 전북서해안권 등 5개가 지정됐다.
한탄강지질공원은 포천시 유역 493.24㎢, 연천군 유역 273.65㎢, 강원도 철원군 유역 398.72㎢ 총 1천165.61㎢로, 이는 여의도 면적(2.9㎢)의 약 400배에 달하는 크기다.
한탄강은 DMZ 일원의 청정 생태계와 함께 50만~10만 년 전 북한 오리산에서 분출한 용암이 굳어 만들어진 주상절리와 베개용암 등 내륙에서 보기 어려운 화산 지형이 잘 보존돼 지질학적 가치가 매우 높고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장관을 자랑한다. 포천 아트밸리와 비둘기낭폭포, 연천 전곡읍 전곡리 유적 토층과 임진강 주상절리 등 26개의 지질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경기도는 도를 비롯한 포천시, 연천군, 강원도, 철원군 등 5개 지자체가 공동협력해 2020년 최초 인증 당시 유네스코에서 제시했던 권고사항을 충실히 이행해 재인증해 성공했다고 분석했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이번 재인증은 한탄강 지질공원이 가진 50만 년의 지질․역사적 가치가 증명된 것”이라며 “5개 지자체가 정기적인 실무자회의를 갖는 등 공동 노력해 4년 후에도 재인증에 성공하겠다”고 말했다.
50만년의 시간이 빚은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재인증 성공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
'뉴스 >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GH, 리츠 자산관리회사 겸업인가 획득... 리츠사업 본격 추진 (3) | 2024.09.19 |
---|---|
경기도주식회사, 스타필드와 함께 ‘2024 경기도 사회적가치 페스타’ 진행 (2) | 2024.09.19 |
경기도귀농귀촌지원센터, 찾아가는 상담실 ‘행복멘토링 데이’ 운영 (0) | 2024.09.19 |
하남시, 시청 구내식당 월 2회 「비건데이」 운영해 ‘탄소중립’ 실천 (0) | 2024.09.13 |
안양시, 추석 앞두고 세무사회와 전통시장 무료 세무상담 진행 (3) | 202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