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정치·사회

(336)
전세사기 심각한데, 보증보험 지급 거절 급증... 182건, 359억원 홍기원 의원 “전세계약 완료 전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확인할 수 있어야” 보증보험 가입심사 과정에서 걸러내지 못해…심사 시스템 개선 필요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한 세입자가 보증사고를 당하고도 보험금을 받지 못한 건수가 최근 5년간 182건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5년간 전세보증보험 가입 후 보험 지급 이행이 거절된 건수는 총 182건으로 거절된 보증금액 규모는 359억 83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도별로 보면 전세보증보험 이행거절 건수는 △2019년 12건 △2020년 12건 △2021년 29건 △2022년 66건 △2023년 1~8월 6..
5년간 재활용 고철 사업자 취급 고철 약 100톤에서 방사능 물질 검출 정필모 의원, 민간 사업장 평균 처리 기간 8개월...일반 공항·항만에 비해 2배 이상 걸려 최근 5년간 재활용 고철 사업자가 취급한 고철 중 약 100톤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사업장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될 경우, 일반 공항·항만에서 검출됐을 때보다 처리 기간이 2배 이상 걸렸다. 4일 더불어민주당 정필모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방사능 오염 고철 처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5년간 재활용 고철 사업자가 취급한 고철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것은 모두 125건으로, 이로 인한 ‘방사능 오염 고철’의 무게는 총 9만 8,894kg이었다. 이 가운데 최근 5년간 일반 공항·항만에서 ‘방사능 오염 고철’이 ..
박영순 의원, ‘최근 5년간 요금미납으로 인한 도시가스 공급중단 17만 곳에 육박’ 2019년부터 감소하던 가스요금 체납 2022년 1만 1,399건 상승해 55만 건 발생 박영순, “도시가스는 국민의 생존권에 직결된 서비스, 공급중단 대책 필요” 최근 5년간 도시가스 요금을 내지 못해 가스공급이 중단된 사례가 약 17만 곳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박영순 의원(대전 대덕구)은 4일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도시가스 공급중단은 16만 9천9백여 건에 이르고 같은 기간 도시가스 요금 체납 건수는 약 340만 건으로 이에 따른 총 체납액은 2,792억여 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가스공급 중단 사례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 4만 1,306건, 서울 3만 5,707건, 인천 1만 8,871건으로 56..
개인사업자 대출 2년 사이 107 조원 증가, 경기침체 장기화시 자영업자 發 빚폭탄사태 우려 송석준 의원, "자영업자와 금융회사 부담을 낮출 수 있는 정부의 연착륙 방안 마련 시급" 코로나 19 이후 최근 2년 사이 자영업자 빚이 107 조원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 4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 (경기 이천시)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 은행 · 상호금융 · 여전사 · 저축은행 · 보험 등 금융업권 개인사업자 대출잔액이 2021년 상반기 기준 527조 4,244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634조 9,614억원으로 무려 107조 5,37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업권별로 상호금융이 93조 900억원에서 146조 3,847억원으로 53조 2,947억원 증가했고, 다음으로 은행이 405조 5,388억원에서 446조 1,645억원으로 40조 6,257억원 늘었다 ...
집주인 대신 ‘깡통전세’ 떠안은 HUG 홍기원 의원, 주택도시보증공사 올 상반기 순손실 ‘1조 3천억’… 7배 급증 세입자에게 돌려준 전세보증금 급증 여파, 전세사기‧역전세 피해 그만큼 컸다는 의미 대위변제금 회수율 또한 매년 감소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상반기 순손실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홍기원 의원실은 26일 HUG가 제출한 ‘2023년 반기결산결과 요약’에 의하면, 올해 반기(1~6월) 순손실은 1조 328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847억 대비 7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HUG는 5월 작성한 ‘2023~2027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계획 전망치’에서 올해 당기순손실을 1조 7558억원으로 예상했는데, 반년만에 1년 예상치에 거의 근접한 손실을 기록한 것이..
한국주택금융공사,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작년 대비 사고금액 5배, 대위변제액 약 7배 급증 송석준 의원, 대위변제액 중 올해 회수액은 8월말까지 68억원, 회수율 13.59%에 불과 역전세, 전세사기 등으로 올해 들어 8월까지 한국주택금융공사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의 사고건수 및 사고금액이 지난해 대비 약 5배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한국주택금융공사가 국회 정무위원회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의 사고건수는 2022년 51건에서 올해 8월말 기준 260건으로, 사고금액은 111억원에서 559억원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초년생인 20~30대의 사고 규모는 2022년~2023년(8월말 기준)사이 20대는 12건, 20억원에서 76건, 144억으로 30대는 29건 71억원에서 140건, 307억원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금액기준..
정부 출연연 R&D 예산삭감 후폭풍 “포닥·학생연구원 등 1200여 명 이상 사라질 위기” 정필모 의원, 예산 삭감비율에 따른 예상 감원 인원 추계 단기적으로 연구 활동 위축, 장기적으로 이공계 기피 심화 우려 정부출연연구기관 R&D 예산을 대폭 삭감한 2024년도 정부 예산안이 이대로 확정될 경우 박사후과정(포닥, postdoc)·학생연구원 등 연구인력의 자리가 1200여 명 이상 줄어들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더불어민주당 정필모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은 지난 9월 1일 정부가 제출한 내년도 산안의 출연연 주요사업비 현황과 현재 각 출연연의 연구자(연수직) 인력 현황 등을 감안해 추산한 결과 예산삭감이 현실화가 될 경우, 연수직 연구원의 대규모 감원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5일 밝혔다. 출연연 연수직 연구원은 포닥, 학생연구원, 인턴으로 구성된다. 현재 25개 출연연..
고속도로 드론 단속 실적 매년 증가, 작년 한 해 6,759건...9월 27일부터 10월 3일까지 단속 홍기원 의원, 안전띠 미착용도 잡는다..고속도로 드론단속 실적 4년 간 2배 증가 지정차로, 안전띠 미착용도 적발, 추석 연휴 기간 주요 휴게소 및 졸음쉼터 단속 예정 고속도로 드론 단속 실적이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올해 추석 연휴에도 주요 휴게소 및 졸음쉼터 등에 단속 드론이 배치될 예정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홍기원 의원실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드론을 활용한 법규 위반 차량 단속 실적은 ▲2018년 3,116건 ▲2019년 3,519건 ▲2020년 3,983건 ▲2021년 6,398건 ▲2022년 6,759 건으로 매년 증가세다. 2018년과 비교해 4년만에 2배 넘게 증가한 수치다. 올해만해도 8월까지 4,672건이 추가로 적발된만큼, 작년보다 단속 건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
KB국민은행과 KDB산업은행, 가계대출.기업대출 이자감면액 운영실적 저조 송석준 의원, “기존은행, 대출실적에 걸맞지 않는 찔금찔금 금리인하” 국내 은행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시중은행과 KDB산업은행의 금리인하요구권 운영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에 따르면, 은행연합회 금리인하요구권 공시자료 분석 결과, 2023년 상반기 기준 가계대출 대표주자인 KB국민은행과 기업대출 대표주자인 KDB산업은행의 이자감면액이 각각 11억원(가계 10억, 기업 1억), 21억원(가계 0억, 기업 21억)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1분기 기준 KB국민은행은 가계대출 잔액 162조원(전체 890조원)으로 가계대출 점유율 18%를 차지했고, KDB산업은행은 기업대출잔액 110조원(전체 1,240조원)으로 기업대출 점유..
국내 10대 기업들 화학물질관리법 위반으로 적발...1위는 LG 최근 5년간 화학물질관리법 위반 총 86건, LG 20건, 한화 16건, 롯데 14건, SK 10건 등 노웅래 의원, “화학 안전 실상과 안전 불감증에 대해 국정감사에서 집중적으로 다룰 것” 환경부가 화학물질 관련 규제 완화를 추진 중인 가운데 최근 5년간 국내 10대 기업 모두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것으로 드러나, 환경부의 화학물질 규제 완화가 결국 ‘대기업 봐주기’에 불과하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국회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서울 마포갑/환경노동위원회)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 9월 현재까지 국내 10대 기업 화관법 위반 건수는 모두 86건으로 드러났다. 국내 10대 기업 중 화관법 위반 건수가 가장 많은 기업은 LG로 20건이었고, 이어 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