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철도

서울지하철 2029년까지 직물형 의자를 '강화 플라스틱 의자'로 전면 교체

전동차는 운행 중 진동과 상시 조명으로 빈대 서식과 활동이 어려운 환경

 


지난해 유럽을 시작으로 국내에서도 빈대가 발견되어 사회적 이슈가 된 가운데, 최근 일본에서 관광지를 중심으로 관광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하철 노선에 빈대 목격담이 나오면서 다시 한번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작년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빈대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을 때부터 관련 문자 62건, 전화 4건 등 총 66건의 민원이 접수됐으나, 접수된 민원을 확인한 결과 실제 빈대가 발견된 사례는 없었다고 밝혔다.

 

빈대로 의심된다고 제보한 승객의 사진은 모두 외형이 비슷한 종류의 벌레였으며, 해당 전동차를 차량사업소에 입고하고 공사 방역업체와 외부 방역 전문업체 CESCO에서 검사한 결과 빈대 또는 빈대의 흔적은 없었다.

 

빈대는 주로 주간에는 틈새에 숨어있다 어두울 때 활동하는 곤충으로, 빛을 싫어하고 습한 환경과 따뜻한 곳을 좋아한다. 한편 전동차의 기본 골격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환경으로 운행을 마친 전동차는 차량기지 실외에 유치되어 기온이 내려가 빈대의 발육온도 13℃ 이하로 생육조건과 맞지 않는 환경이다.

 

또한 방역 전문업체 CESCO의 진단 결과에 따르면 “운행 중 항시 조명이 들어와 있어 열차 내 서식 및 활동이 어렵다.”라는 설명이다.

  

빈대는 야간활동성으로 암수 모두 흡혈을 하며 주간에는 틈 등에 숨어있고, 저녁보다는 주로 이른 새벽(3~4시)에 흡혈 활동을 한다.

  

방역 전문업체는 진단 결과 “전동차는 상시 등이 켜져 있어 빈대의 주 서식처로 보긴 어려우나 탑승객의 의류와 가방 등 수하물에 의해 유입될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공사는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인 만큼 시민들이 안심하고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물리적 방제를 기반으로 화학적 방제를 병행하는 방법으로 방역하고, 월 1회 주기적으로 전문 방역업체를 통해 빈대 서식 여부를 진단하고 있다.

 

공사는 물리적 방제의 방법으로 운행하는 전동차의 54%에 해당하는 직물소재 의자에 대해 월 1회 대청소 때 100℃ 고온스팀진공청소를 시행하고 있다.

  

병행하여 화학적 방제로 승객이 자주 접촉하는 의자·손잡이 등은 살균 소독, 객실 바닥은 잔류분무법으로 용량·용법 및 주의사항을 준수하여 『감염병예방법』에서 정한 기준(연 9회) 보다 강화한 주기(평시 월 2회, 하절기 월 4회)로 시행하고 있다.

 

또한 공사는 빈대로부터 안심할 수 있는 객실 환경 조성을 위해 직물형 의자를 『강화 플라스틱 의자』로 교체하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공사에서 운영하는 전동차 좌석 소재별 비율은 직물형(1,955칸, 54%), 스테인레스(613칸, 17%), 강화 플라스틱(1,044칸, 29%)로 직물형 의자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공사 운용 직물형 의자 1,955칸 중 교체시기(15년)가 도래된 3호선 340칸에 대하여 강화 플라스틱 의자로 교체할 예정이며 소요 예산은 약 45억 원으로 예상된다.

  

향후 직물형 의자는 교체시기를 감안하여 점진적으로 교체할 계획이며, 신조전동차 교체계획에 따라 기존 직물형 의자를 2029년까지 모두 교체할 예정이다.  

 

서울지하철 2029년까지 직물형 의자를 '강화 플라스틱 의자'로 전면 교체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