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서울시

[국토저널] 서울시, 노후 저층주거지 목동 '엄지마을' 도시재생‧가로주택 결합해 정비

도시재생 큰 틀 유지하면서도 주택 일부는 수선, 일부는 재건축해 약 300호 신축

 

 

양천구 목2동 231번지 일대 ‘관리형 주거환경개선사업 구역’ 지정고시, 3월 본 궤도
도로 등 기반시설 개선, CCTV 등 안전시설 설치하고 공동이용시설도 신축
정주권 보장하고 기반시설 확충하는 동시에 주민들의 주거환경 개선 체감효과 높인다

 

20년 이상 된 단독‧다가구‧다세대주택이 밀집한 노후 저충주거지인 양천구 ‘엄지마을’(목2동 231번지 일대)이 도시재생 구역 내 가로주택정비사업을 결합한 새로운 방식으로 정비된다.

 

서울시는 지난 7일 양천구 엄지마을(68,317㎡, 현재 543세대 규모)을 ‘관리형 주거환경개선사업구역’으로  지정고시하고, 정비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양천구 엄지마을은 단독, 다가구, 다세대 등이 밀집된 저층주거지로써 구역 내 건축물의 70% 이상이 20년 이상의 노후 주택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 마련이 시급하고, 타 지역에 비해 열악한 기반시설과 안전시설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에 고시한 엄지마을 정비계획은 도로포장, 벽화 및 조명설치 등 기존의 소극적 방식에서 벗어나 주거환경개선사업 구역 내에서 가로주택 등 소규모 정비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서울시내 첫 번째 사례로써 이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유형을 선호하는 주민 요구를 적극 반영한 것이다.

 

도시재생이라는 큰 틀을 유지하면서도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접목해 일부 노후주택은 철거 후 약 300호 규모의 새 아파트(공동주택)를 신축하며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추진되는 구역은 엄지마을 전체 부지(68,317㎡)의 약 24.3%(16,625㎡)로서 나머지 구역의 노후주택은 가꿈주택사업을 통해 수선‧보강한다.

 

가꿈주택사업은 노후주택 성능개선을 위한 집수리 보조 및 융자사업으로 보조는 공사비용의 1/2, 최대 1천 2백만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하고 융자의 경우 공사비의 80%를 0.7%의 금리로 최대 6천만원~1억원까지 지원한다.

 

서울시는 엄지마을이 ‘가로주택정비사업’ 추진 요건을 갖출 수 있도록 도시계획시설(도로)을 새롭게 지정했다. 
 
엄지마을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올해 3월 정비기반시설 설계용역을 시작으로 2022년에는 정비기반시설 공사에 착공하고 공동이용시설 설계, 2023년에는 공동이용시설 공사에 들어간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조합설립 인가를 시작으로 5년 내 사업완료를 목표로 추진될 예정이다.

 

류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양천구 엄지마을은 저층주거지의 물리적‧사회적 재생에 방점을 둔 주거환경개선사업 구역 내에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접목하는 첫 번째 사례”라며 “지역 내 기반시설들을 개선하고, 좀 더 나은 거주환경을 원하는 주민들의 요구도 충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식의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토저널≫ 서울시, 노후 저층주거지 목동 '엄지마을' 도시재생‧가로주택 결합해 정비

                                                                                   양천구 목2동 231번지 일대

www.kooktojournal.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