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정치·사회

오봉역 사고, 잘못된 진단에 엉뚱한 안전대책 내놓은 국토부와 코레일

홍기원 의원, 최근 5년간 물류편재역 입환사고 9건 중 6건 오봉역에서 발생

 


오봉역, 곡선 선로로 시야 확보 어렵고 공간 협소해 사고 위험 커

홍기원 의원, “구조적 해결책 없이 직원에게만 책임”

 

더불어민주당 홍기원 의원(국토교통위원회, 평택시갑)이 11일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토부와 코레일은 오봉역 사고의 근본적 문제에는 관심 없이 사람한테만 모든 책임을 미루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홍기원 의원에 따르면 오봉역과 같이 화물을 주로 취급하는 물류편재역에서 최근 5년간 발생한 입환사고 9건 중 6건이 오봉역 사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입환 작업이 가장 많은 제천조차장역의 입환 산재는 지난 2013년 한 건 발생했다.

 

이에 대해 나희승 한국철도공사 사장은 “제천역은 선로가 직선화 되어 있고 시야 확보 여건이 갖추어져 있는 반면 오봉면은 곡선 선로가 많고 여유 공간이 협소하다”고 설명했다.

 

홍 의원은 “그런데도 국토부 장·차관은 아직까지 내용에 대해 제대로 보고도 안 받고 조직 문화와 관행이 문제라고 하고 있다”며 “진단이 완전히 잘못됐으니 대책도 엉뚱하게 나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어명소 국토부2차관은 사고 현장 방문 당시 ‘관행적 안전무시 작업 태도를 타파해야 한다’고 발언한 근거가 뭐냐는 홍 의원의 질의에 대해 “조직의 문제로 진단하고 있다”며 안전불감증을 언급한 바 있다.

 

철도공사에서 홍 의원실에 제출한 안전대책 보고자료 역시 구조적 문제보다는 직원의 안전 수칙 준수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기원 의원은 “관련 통계나 현장 상황을 보더라도 시설이나 구조가 사고의 원인인데, 코레일의 안전대책 보고자료 제일 앞에는 의식 강화·기본수칙 준수를 위한 24시간 밀착점검·신상필벌 적극시행·미준수자 패널티 내용이 강조되어 있다”며 “오봉역에 대한 구조적 해결책 없이 근로자에게만 책임을 돌릴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봉역 사고, 잘못된 진단에 엉뚱한 안전대책 내놓은 국토부와 코레일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