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정치·사회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농가 5.2%만 이용

소병훈 의원 “홍보 확대 및 특별재난지역 중심으로 시스템 도입해야”

 


전라북도 순창 31.3%(1,458가구)로 1위, 경상남도 진주는 0.1%(14가구)로 최하위 

 

집중 호우, 태풍, 기상 이변 등 재난재해로 인한 농가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농가의 5.2%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병훈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더불어민주당, 경기 광주시 갑)은 11일,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도입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올해 6월 기준 경북, 경남, 전북, 전남 등 41개 시·군으로 확대됐지만, 가입률은 5.2%, 예측문자를 발송받는 농가는 2.4%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단위 기상 예측과 작물의 생육상황을 고려하여 예측 기상과 작물재해 정보 및 대응 기술을 개별 농가에게 알려주는 기상재해 관리사업이다. 

 


해당 41개 시군의 총 농가 수는 273만 807가구, 조기경보시스템 가입 농가 수는 14,336가구, 문자발송 농가 수는 6,614가구였다. 한편, 2017년 서비스를 시작한 전라북도 순창이 31.3%(1,458가구)로 가입률이 가장 높았으며, 2021년 서비스를 시작한 경상남도 진주시가 0.1%(14가구) 가장 가입률이 낮았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가가 신청을 하면, 농장단위의 기상 및 작물재해 예측정보와 대응지침(사전, 즉시, 사후)을 인터넷(분포형 웹-GIS), 농민의 모바일 앱이나 문자로 발송해준다. 온도관련 기상‧재해는 최대 9일까지, 그 외 강수, 바람, 일조 관련된 내용은 3일까지 예측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소병훈 위원장은 “농가에게 도움이 되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사업이 6년간 지속되었음에도 현재 농가이용률이 5.2%로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며,  “경기도, 충청도 등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추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시스템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농가 5.2%만 이용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