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환경

수도권매립지 독성물질, 불소 등 20개 항목 토양오염도.. 법정 기준 크게 밑돌아

유해물질 제거한 건설폐기물과 생활쓰레기만 매립 때문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제7회 흙의날을 맞아 매립지 주변의 토양오염도가 법이 정한 토양오염우려기준을 크게 밑돌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공사는 환경영향평가법이 정한 사후환경영향조사의 일환으로 매립지 내 8개 지점과 매립지 밖 1개 지점(사월마을) 등 9개 지점에 대해 카드뮴, 납 등 중금속 8개 항목과 유기인, 페놀, 벤젠 등 독성물질 11개 항목, 불소 등 모두 20개 항목에 대해 연 1~2회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측정 지점은 골프장으로 사용 중인 제1매립장 3곳, 매립을 종료하고 최종 복토 예정인 제2매립장 2곳, 현재 매립 중인 제3매립장 2곳, 야생화공원 등 매립지 내부가 8곳이고, 매립지 밖은 사월마을 1곳이다.

 

2021년까지 3년 동안의 측정결과를 보면 유기인 등 독성물질 10개 항목은 아예 검출되지 않았고, 등유, 경유, 벙커C유의 주성분인 TPH(석유계탄화수소)는 매립지 내부 8개 지점의 경우 불검출에서 최대 107.4ppm으로 법이 정한 기준의 2,000ppm에 크게 못 미쳤다.

 

중금속도 8개 항목 모두 법이 정한 토양오염 우려기준에 크게 못 미치고, 불소의 경우 사월마을에서 2019년 365ppm으로 기준치 400ppm에 육박했으나, 2020년 262.4ppm, 2021년 251.3ppm으로 다른 지점과 같이 토양오염 우려기준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불소는 자연상태의 토양에서도 250~750ppm 농도로 존재하는 물질이다.

 

김재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맑은환경부장은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제거한 건설폐기물과 생활쓰레기만 매립하기 때문에 법정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매립지 독성물질, 불소 등 20개 항목 토양오염도.. 법정 기준 크게 밑돌아 - 국토저널 (kooktojournal.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