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 환경영향평가 입체공간정보 구축 및 디지털전환 거점 마련
입체환경공간정보는 원하는 시점에서 자유롭게 확대, 축소, 회전시켜 정밀하게 확인하여 분석이 가능하고, 설계도면과 중첩(Overlay)하여 불법 개발행위 및 초과면적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안병옥)은 ‘환경영향평가 지역 입체환경공간정보(3D-ESI)1) 구축사업’을 통하여 환경영향평가 대상 지역의 디지털 전환을 시행 중에 있다고 2일 밝혔다.
‘환경영향평가 지역 입체환경공간정보 구축사업’은 무인항공(드론) 및 공간 지도화(Spatial Mapping)기법을 이용하여 환경영향평가 지역을 3차원 형상화(3D Modeling)3) 및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데이터와 기술 노하우를 환경영향평가제도 구성원에게 무료 제공하여 환경영향평가서등의 검토업무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있다.
환경공단은 ‘환경영향평가 지역 입체환경공간정보 구축사업’을 통하여 총 45건의 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에서 불법개발행위, 환경오염발생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거머리말류, 가시연꽃, 흰발농게 등)의 서식지 훼손을 사전에 예방했다.
또한, 환경영향평가제도 구성원과의 상생·협력 및 디지털전환 확대를 위하여 입체환경공간정보 106회 무료 제공, 총 12회 드론운용 및 모델링 방법 교육을 수행했다.
한국환경공단은 올해부터는 다중분광 및 혼합현실 기술을 융합하여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극복한 환경영향평가 대상 지역의 가상환경 공간정보(K-CDX: 한국형 융합 디지털전환)를 추가로 구축할 계획이다.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환경영향평가 지역 입체환경공간정보 구축사업을 통해 검토 효율성 향상 및 멸종위기종 서식지의 훼손을 사전예방을 할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는 “한국형 융합 디지털전환(K-CDX)4)기술을 추가로 도입하여 지속 가능한 디지털뉴딜을 더욱 확대‧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스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청, 신규 숲 해설가의 현장 적응을 위해 일 체험형 자원봉사 사업 추진 (0) | 2022.03.03 |
---|---|
인천항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시행자에 "인천항만공사" 선정 (0) | 2022.03.03 |
해수부, ‘민간단체 등 해양환경교육 협력사업’ 공모 (0) | 2022.03.02 |
폐기물 소각·매립 줄인 지자체, 국고지원 더 받는다 (0) | 2022.02.28 |
산림청, 2022년 케이-포레스트 푸드(K-FOREST FOOD) 품목 20가지로 확대 (0)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