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정치·사회

'하자 투성이 LH아파트' 근본적 해결방안 촉구

김희국 의원, LH아파트 최근 3년간 하자 2만4천117건 발생!

 

 

국민의힘 김희국의원(군위‧의성‧청송‧영덕)은 1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제출받은 '주택유형별 하자발생 현황'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7년~2019년) 장기임대, 공공임대 아파트와 분양주택에서 발생한 하자가 총 2만4천117건 이라고 밝혔다.

 

< 장기임대(국민, 행복, 영구) 하자발생 현황 (연도별) >

 

최근 3년간 발생한 하자 2만4천117건을 주택유형별로 보면, 장기임대(국민,행복,영구)는 총 4천462건(도배 불량 1천261건, 오배수 등 불량 1천911건, 타일 불량 706건) 공공임대(5년,10년)는 총 1만297건(타일 불량 3천360건, 오배수 등 불량 2천324건, 도배 불량 1천904건) 분양주택도 총 9천358건(타일 불량 2천821건, 오배수 등 불량 2천307건, 도배 불량 1천912건)의 하자가 발생했다.

 

2019년 장기임대(국민,행복,영구)는 오배수 등 불량이 389건으로 가장 많았고, 공공임대(5년,10년)와 분양주택은 타일 불량이 각각 1천409건, 769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입주민들이 하자로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는 가운데, 누수 피해 또한 늘고 나면서 최근 5년간(2015년~2019년) LH 임대아파트에서 총 3천180의 누수 하자가 접수되었고, 누수로 인해 100건의 의류, 침구류, 가구류, 생활용품 등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누수피해 현황을 보면, 2015년 430건 누수하자 접수에 13건 피해, 2016년 920건 누수하자 접수에 14건 피해, 2017년 603건 누수하자 접수에 13건 피해, 2018년 683건 누수하자 접수에 28건 피해, 2019년 544건 누수하자 접수에 32건의 피해가 각각 발생했다.

 

김희국의원은 “LH는 타일, 도배, 오배수 등에 대한 하자를 적극적으로 보수하고, 각종 하자로 인해 입주민들이 겪고 있는 불편을 줄일 수 있는 근본적 해결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원문기사

 

≪국토저널≫ '하자 투성이 LH아파트' 근본적 해결방안 촉구

국민의힘 김희국의원(군위‧의성‧청송‧영덕)은 1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제출받은 '주택유형별 하자발생 현황'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7년~2019

www.kooktojournal.news